Chapter 6 Bandwidth Utilization Multiplexing and Spreading Http
Chapter 6 대역폭 활용: 다중화와 확장 (Bandwidth Utilization: Multiplexing and Spreading)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1
6 장 다중화(Multiplexing) 6. 1 다중화 6. 2 확산 대역 방식 6. 3 요 약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2
6. 1 다중화 q 다중화의 범주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7
6. 1.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은 신호들을 합성하는 그 다중화 기술이다. 아날로 FDM is an analog multiplexing technique that combines analog signals.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9
Example 6. 1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13
Example 6. 2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15
Example 6. 3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17
6. 1.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q 아날로그 계층구조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18
6. 1. 2 파형 분할 다중화 q WDM : Wavelength-division Multiplexing q 기본 개념은 FDM과 같으며, 광섬유의 고속 전송률을 이용하기 위해 설계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21
6. 1. 2 파형 분할 다중화 WDM은 광섬유 신호를 조합하기 위한 날로그 다중화 기법이다. 아 WDM is an analog multiplexing technique to combine optical signals.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23
6. 1. 3 시분할 다중화 TDM은 여러 개의 저속 채널을 하나의 고속 채널 로 조합하는 다중화 기술이다. TDM is a digital multiplexing technique for combining several low-rate channels into one high-rate one.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25
6. 1. 3 시분할 다중화 q 시간틈새(time-slot)와 프레임(frame)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26
6. 1. 3 시분할 다중화 동기 TDM에서는 링크의 전송률은 n 배 빠르고 , 단위 기간은 n 배 짧다. In synchronous TDM, the data rate of the link is n times faster, and the unit duration is n times shorter.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27
Figure 6. 14 Example 6. 6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32
Figure 6. 16 Example 6. 8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37
Figure 6. 17 Example 6. 9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39
데이터 전송율 관리 q 입력 측 데이터율 이 서로 다른 경우 해결 방법 ① 다단계 다중화(multilevel multiplexing) ② 복수 틈새 할당(multiple-slot allocation) ③ 펄스 채워 넣기(pulse stuffing)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41
6. 1. 3 시분할 다중화(계속) q 프레임 동기화(Frame synchronization) ■ 프레임 구성비트(framing bits)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45
6. 1. 3 시분할 다중화(계속) q DS (Digital Signal) 서비스 ■ 디지털 신호의 계층 구조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49
6. 1. 3 시분할 다중화(계속) q DS와 T회선 전송속도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50
6. 1. 3 시분할 다중화(계속) q 아날로그 전송용 T회선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51
6. 1. 3 시분할 다중화(계속) q T-1 프레임 구조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52
6. 1. 3 시분할 다중화(계속) q 통계적 TDM ■ TDM 틈새(동기와 통계적) 비교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54
6. 2 확산 대역 방식(SS: SPREAD SPECTRUM)에서 서로 다른 소스로부터 오는 신호를 보다 큰 대역폭에 맞 추기 위해 조합하지만, 목적은 엿듣기와 도청을 막 기 위한 것이다.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확산 대역 기술에 여분의 정보를 추가한다. Topics discussed in this section: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(FHSS)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Synchronous (DSSS)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55
6. 2. 1 주파수 뛰기 대역 확산 방식 q FHSS: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■ 발신지 M개의 신호를 서로 다른 반송파를 사용하여 변조한다.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57
6. 2. 1 주파수 뛰기 대역 확산 방식 q FHSS에서 주파수 선택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58
6. 2. 1 주파수 뛰기 확산 대역 방식(계속) q FHSS 사이클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59
6. 2. 1 주파수 뛰기 확산 대역 방식(계속) q 대역폭 공유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60
6. 2. 2 직접 순열 확산 방식 q DSSS: Direct Sequence Sprad Spectrum ■ 각 데이터 비트를 확산코드를 사용하여 n개의 bit로 대체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61
6. 2. 2 직접 순열 확산 대역 방식(계속) q DSSS 예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62
6. 3 요 약 Q & A Http: //netwk. hannam. ac. kr HANNAM UNIVERSITY 63
- Slides: 64